학명 읽는 법에 관한 자료를 발견하게 되어 기록해두려 한다.
학명 읽는 법.
가) 모음
1) 모든 모음은 따로 따로 읽는다. 예컨데 leianthus(레이안투스), thunbergii(툰베르기이).
다만 두 개의 모음이 따라 나오는 겹모음은 하나의 모음으로 읽는다. 예컨대 ae(애), oe(외), ue(위).
2) i는 언제나 '이'로 읽고, '위'로 읽어서는 안된다.
3) y는 단어 앞 첫음절에 놓이거나 그 바로 뒤에 모음이 나오든지 또는 두 모음 사이에 놓여있을 때에는 '이'로 읽지만, 그 밖에는 모두 '위'로 읽는다.
나) 자음
1) 모든 c는 ae, e, i, oe, y 앞에서는 'z'로 읽고, 다른 모음 또는 자음 앞에서는 언제나 'k'로 읽는다.
예컨대 Picea(피체아), Caesalpinia(채살피니아), Acer(아체르), Circium(치르시움), Coelogyne(쵤로기네), Cydonia(취도니아), Cacalia(카칼리아), Cucumis(쿠쿠미스).
또한 cc는 언제나 'kz'로 읽어야 한다. 예컨대 coccineus(콕치네우스).
2) gu, qu, su가 모음 앞에 놓일 때는 언제나 'gv', 'kv', 'sv'로 읽는다.
예컨대 guineensis(그비네엔시스), Quercus(크베어쿠스), suecicus(스베치쿠스).
블로그 자작 식물도감 학명 읽어보기.
(준비중)
반응형
'circloser-★ >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어 펑크... (1) | 2016.02.16 |
---|---|
티스토리 초대장 배포합니다.(19개) (7) | 2016.02.15 |
마이너스통장 한도 증액 (1) | 2016.02.15 |
나올 것 같은 면접 예상 질문 정리 (0) | 2016.02.15 |
공식어플.출시기념 포스팅 (0) | 2014.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