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태나무 Lindera glauca (Siebold & Zucc.) Blume


겨울에도 참나무과 식물처럼 마른 잎이 잘 떨어지지 않는 감태나무!!

구황식물로 잎을 먹을 수 있고, 열매와 뿌리는 약으로 쓴다고 하는데,


17년 2월 청송국가지질공원에서 만난 그 모습에 반해버리고 말았다!!

단풍이 너무 아름다워서 정원 식물 소재로 써도 손색이 없을 것 같았다. 겨울철에도 그 잎을 볼 수 있으니 말이다!


가지 몇개를 삽목해놨는데, 과연 증식이 잘 될런지!! 기대가 된다~


20170224_청송국가지질공원



20170422_천리포수목원


20171026_국립생태원 보존녹지2



반응형

'자작 식물도감 > 낙엽관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사의나팔 엔젤트럼펫  (0) 2014.08.15
조팝나무  (0) 2014.07.06
산수국  (0) 2014.07.06
찔레  (0) 2014.07.06
눈향나무+남천  (0) 2014.06.30

꽃은 피지 않았지만, 천사의 나팔이라고 불리우는 꽃이 핌~  엔젤트럼펫





140813 장항역 앞


반응형

'자작 식물도감 > 낙엽관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태나무  (0) 2018.04.05
조팝나무  (0) 2014.07.06
산수국  (0) 2014.07.06
찔레  (0) 2014.07.06
눈향나무+남천  (0) 2014.06.30

조팝나무 펑~ 장관이었다 ~_~



20140417 장항역 진입로



반응형

'자작 식물도감 > 낙엽관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태나무  (0) 2018.04.05
천사의나팔 엔젤트럼펫  (0) 2014.08.15
산수국  (0) 2014.07.06
찔레  (0) 2014.07.06
눈향나무+남천  (0) 2014.06.30

#식물이야기 #circloser

묵은 꽃대가 가득했던 사무실 산수국,
매일 오고가며 쑥쑥 크는 모습을 지켜보며, 가슴 두근거렸는데요,
드디어 꽃을 피우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음지식물이라 그런지 확실히 그늘에서 생육이 왕성했고,
토양의 산도와 햇빛의 양에 따라서 색이 달라진다고 합니다.
푸르스름한 몽환적인 색상이에요.

주변의 보다 잎은 열매를 맺지 않는 무성화로서, 곤충을 유인하려는 식물의 전략이라고 합니다.
신기한 것은 가운데 유성화가 수정이 끝나게 되면, 주변의 무성화는 뒤집어져서 곤충 유인 기능을 떨어뜨린다고 합니다.

산수국과 비슷하게 생긴 백당나무는 잎의 모양으로 확실히 구분할 있습니다. 하얀색의 백당나무 꽃은 산수국보다는 일찍 피고 집니다.

수국은 원산지는 일본이고, 산수국과 달리 꽃이 둥굴게 피고, 모양이 아름다워서 다양한 품종이 있습니다. 
산수국과 마찬가지로 토양의 산도에 따라서 색이 변합니다. 
산성에 가까울 수록 청색이 돌고, 중성, 알칼리성으로 갈수록 붉은 계열의 색을 띱니다.

수국과 비슷하게 생긴 불두화는 산수국과 백당나무 구분하는 것과 같이 잎으로 쉽게 구분할 있습니다.
백당나무와 같은 인동과로 백당나무에서 변형되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석가탄신일 전후로 개화하고, 부처의 머리를 닮아서인지 불두화라는 명칭이 붙었습니다.

@국립생태원, 140411, 140603, 140610, 140617
@
서울 지적장애인복지관, 140426
@Delft, 100725
@
양재 꽃시장, 110607
@
춘천, 040522

 
















반응형

'자작 식물도감 > 낙엽관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태나무  (0) 2018.04.05
천사의나팔 엔젤트럼펫  (0) 2014.08.15
조팝나무  (0) 2014.07.06
찔레  (0) 2014.07.06
눈향나무+남천  (0) 2014.06.30

#식물이야기 #circloser

찔레나무의 성장

찔레나무 이식할 일이 있어서 일주일동안 가시장갑을 끼고 일했지만,
가시들이 손에 박히고, 긁힌 자국이 손목 언저리에 남았네요 ㅠㅠ

만지면 찔리기 때문에, 예로부터 찔레나무라고 불리었다고 합니다.

, 물가에 버드나무 꽃이 시기 즈음,
찔레나무가 곳곳 언저리에 연녹색으로 모습을 드러냅니다.

가장자리 식물 군락의 대표종이 찔레와 ,
찔레를 캐낼 때는 언제나 칡고 함께 얽히고 설켜있더라구요~

찔레의 왕성한 생장과 가시 때문에, 농사를 지을 방해가 되어 농부들이 별로 좋아하지는 않는다지만,
외국식물 줄장미를 대신할 있는 훌륭한 고유 자원식물이라고도 하네요.


@
서울대 환경대학원
20110610
20110925
20120608
20120711
20140413

 











반응형

'자작 식물도감 > 낙엽관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태나무  (0) 2018.04.05
천사의나팔 엔젤트럼펫  (0) 2014.08.15
조팝나무  (0) 2014.07.06
산수국  (0) 2014.07.06
눈향나무+남천  (0) 2014.06.30

#식물이야기 #circloser
"
눈향나무 작은 정원 위에 소복이 쌓인 "

@서울 중구 을지로입구, 140209

 











반응형

'자작 식물도감 > 낙엽관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태나무  (0) 2018.04.05
천사의나팔 엔젤트럼펫  (0) 2014.08.15
조팝나무  (0) 2014.07.06
산수국  (0) 2014.07.06
찔레  (0) 2014.07.06

+ Recent posts